오미크론에 적절하게 대응 가능한 시나리오애도 불구하고, 전 세계 경제의 성장률을 낮추고 이미 고공 행진 중인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리스크에 주목해야 함(특히 여러 악재가 겹쳐 고전하고 있는 세계 2위 경제 대국 중국에 미칠수 있는 치명적 위험은 덜 알려진 부분).
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독감과 같은 계절성 풍토병(endemic disease)으로 가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엄중한 경고(rude reminder)를 받음.
오미크론이 델타 변종보다 더욱 전염성이 강하다거나 치명적인진에 대해서 말하기에는 시기상조이나,
인접한 다른 나라로 질병의 파고가 퍼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다시 한 번 세계 경제를 뒤덮으면서 위험을 더욱 증폭시킴.
it is too early to say whether Omicron is more infectious or lethal than the dominant Delta strain;
the threat of a wave of illness spreading from one country to the next is once again hanging over the world economy.
위험 1: 부유한 세계의 규제가 강화되면 성장에 피해를 줄 것
tighter restrictions in the rich world will damage growth.
국내 이동에 대한 제한 역시 강화
The spread of Omicron is likely to intensify limits on free movement at home.
부유한 세계의 거대한 서비스 산업들이 오랫동안 고대해왔던 (일상으로의) 회복 지연.
The long-awaited recovery of the rich world’s huge service industries has just been postponed.
위험 2: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더욱 상승
the variant could raise already-high inflation; A lopsided economy fuels the danger
미국은 과도한 재정적 경기부양책이 경제를 과열시켜서 10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6.2% 상승(30년 만에 최고치); 전 세계의 인플레이션은 5.3% 상승.
excessive fiscal stimulus has overheated the economy and consumer prices rose by 6.2% in October in America;
inflation is uncomfortably high elsewhere, at 5.3% globally
인플레이션이 줄어들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서비스업종으로 소비의 방향을 돌려야 하지만 오미크론은 이러한 전환을 지연시킬 수 있음.
For overall inflation to recede, consumers need to shift spending back towards services. Omicron may delay this.
연준의 긴축 찬성 입장은 맞지만, 신흥국의 자본유출 증가라는 위험성이 따름.
Jerome Powell indicated that he favours monetary tightening. That stance is right, but brings its own dangers.
브라질, 멕시코, 러시아의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늦추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마치 또 다른 전염병의 조짐이 나타날 때와 마찬가지로 성장을 위축시킬 수 있음.
Brazil, Mexico and Russia have already raised interest rates, which helps stave off inflation but may reduce growth just as another wave of infections looms.
위험 3: 세계 2위의 경제 대국 중국의 경기 둔화
a slowdown in China, the world’s second-biggest economy
방대한 부동산 산업의 부채 위기에 맞서고 있고,
a debt crisis in its vast property industry,
민간기업들에 대해서는 이데올로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ideological campaigns against private businesses,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자국을 고립시키고 확진 사례가 나올 때마다 엄격하게 지역을 봉쇄하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zero-Covid” 정책을 펼치느라 애를 쓰고 있다.
an unsustainable “zero-covid” policy that keeps the country isolated and submits it to draconian local lockdowns whenever cases emerge.
오미크론이 더욱 쉽게 전파될 수 있다면, 중국은 그것을 근절하기 위하여 감염 사례가 나올 때마다 더욱 강경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며, 이는 결국 성장을 위축시키고 공급망에 지장을 줄 것이다.
Since this strain travels more easily, China will have to come down even harder on each outbreak in order to eradicate it, hurting growth and disrupting supply chains.
중국이 감염을 통해 형성되는 면역력의 수준이 낮고, 그들의 백신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점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러한 우려는 더욱 타당함.
That is especially true given China’s low levels of infection-induced immunity and questions over how well its vaccines work.
이동 및 각종 활동의 규제가 GDP에 미치는 영향은 예전에 비해 1/3 수준에 불과할 것이고,
the link between gdp and restrictions on movement and behaviour is one-third of what it was.
기존의 백신이 가장 심각한 변종의 예방에도 여전히 효과가 있음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today’s jabs will still prevent the most severe cases of the disease.
2022년에도 새로운 백신과 의약품들을 몇 달 만에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긍정적으로 전망함.
firms and governments will be able to roll out new vaccines and drugs some months into 20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을 포함한 변종은, 성장률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위험이 있으며, 세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가 endemic 질병으로 가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엄중한 경고를 받은 것임.
Variants threaten to lower growth and raise inflation. The world has just received a rude reminder that the virus’s path to becoming an endemic disease will not be smooth.
Leaders | Dec 4th 2021
Danger ahead | What the Omicron variant means for the world economy
Look to China for the likeliest source of a growth slowdown
오미크론은 세계 경제와 세계 보건에 새로운 위협인가? 오미크론은 의학적 과학적으로 더 위험한가 덜 위험한가?
오미크론 변이는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것이다. 테이퍼링 출구전략을 찾고 있던 연준의 스텝도 꼬였다. 진짜 문제는 중국이다.
Jan 8, 2022 | How to talk to Mr Putin 푸틴 대통령과 대화하는 법 (0) | 2022.01.15 |
---|---|
Jan 8, 2022 | Walking away 공화당의 위기 (0) | 2022.01.10 |
21/11/27 Adventure capitalism 모험 자본주의의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0) | 2021.12.05 |
21/11/20 큰 정부의 시대 a new era of big government (0) | 2021.11.28 |
21/11/06 One year on 바이든의 1년 (0) | 2021.11.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