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1/04/03 Message in a bottleneck 글로벌 무역의 좌초 위기

The Economist

by ryanshin77 2021. 4. 16. 19:12

본문

한줄 요약: 수에즈 운하 마비, 반도체 수급 문제 장기화, 미중 무역 갈등 지속 등으로 더욱 위축되고 있는 글로벌 무역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바람직한 미래.

 

- 글로벌화가 가져온 명암

... supply chains encompass some of the most sophisticated forms of human endeavour.

인류 활동에서 최고 수준의 효율 달성: 아이폰은 무려 분업화된 49개국 공급망을 거치며 제조됨

... low inventories and choke-points

지나친 효율화로 재고(버퍼)가 줄어들고, 취약한 지점들이 증가함

 

-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글로벌 무역 체제는 엄청난 장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이슈들에 대응하지 못하면서 큰 위기에 빠짐(구조적인 문제)
Following the neglect of problems such as how to tax tech giants abroad and whether to impose levies on carbon-intensive imports, countries are tempted to take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국제 무역 규정의 퇴락(decay)으로 1) 빅테크 기업들의 해외 수익에 대한 세금 부과나 2) 탄소세 도입 등 근본적인 이슈들이 방치되어 왔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각국은 개별적으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함.

... President Joe Biden is unlikely to expend much political capital on rebuilding it (the global trade regime).
트럼프가 지난 4년간 약화시켜 놓은 세계무역 체제는 재건 의지를 천명한 바이든 행정부에게도 결코 쉽지 않은 과제임(엄청난 정치적 부담)

 

- 글로벌 무역으로 나타나는 장단점을 비교하기 어려운 이유

: 무역 상호의존성에서 발생하는 단점은 눈으로 쉽게 볼수 있지만, 장점은 여러단계를 거치며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간과되기 쉬운 특성을 가짐.

balance between the costs of interdependence, which are brief and visible, and its benefits, which trickle in month after month unheralded. 

 

- 결론: 글로벌 무역이 가져온 상상을 초월하는 혜택을 충분히 인지하고, 공급망의 다변화와 민간 부문의 적응성을 활용해 좌초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음

... Resilience comes not from autarky but from diverse sources of supply and constant private-sector adaptation to shocks

 

원문: ('21.4.3일자 Leaders 섹션) Message in a bottleneck | Global supply chains are still a source of strength, not weakness
Resilience comes not from autarky but from diverse sources of supply

관련 주제 아티클 3편
- A spat over cotton portends more trouble for Western firms in China, page 50. 
Intel as a national champion: Schumpeter, page 55. 
Rare earths and the national interest, page 5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